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37

운남성 (26) - 상그릴라 가는 길 운남성 (26) - 상그릴라 가는 길 샹그릴라(香格里拉)의 옛 이름은 中甸(중전, 쭝디엔)으로, 세계적으로 "여기가 상그릴라" 라는 주장이 많았으나, 관광객 유치를 위해 근래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선수쳐 도시 이름을 바꾸었다. 해발 3,300m 높이에 있으며 이곳은 운남에서 티벳으로 통하는 유일한 관문이었으며, 이곳은 회족(回族, 후이주), 납서족(納西族, 나시주), 보미족(普米族, 푸미주) 등 10여 개 소수민족이 살아가고 있으나 장족(藏族, 티벳족) 사람들이 가장 많기 때문에 티벳과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1933년, 영국의 소설가 James Hilton(1900-1954)은 장편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이라는 제목으로 샹그릴라라는 곳을 처음으로 서양에 알리게 되었다. 영국의 외교관과 동료 3.. 2021. 12. 11.
운남성 (25) - 티벳의 휴계소에서 운남성 (25) - 티벳의 휴계소에서 호도협에서 상그릴라를 향하여 굽이굽이 구곡양장같은 오르막을 한참 올라가면, 갑자기 광활한 초원이 펼쳐진다. 여기부터는 전통적인 중국의 풍광과 다른 별세계이다. 이 지역은 티벳 자치구는 아니드라도 실질적으로 티벳의 사작으로, 경치 주택 사람 복장 등등이 완전히 달라진다. 여기부터는 인구의 80%가 장족(藏族, 티벳족) 이라고 한다. 휴게소에서 담은 사진들이다. 멀리 보이는 합파설산 지붕 위에 깃대가 세개 있는집은 출가한 사람이 있다. 출가한 사람이 있으면 가문의 영광이다. 우측은 건조대 기념품도 파는 휴게소 건물 2021. 12. 11.
운남성 (24) - 호도협 운남성 (24) - 호도협 양자강(揚子江)의 상류인 남쪽으로 흐르든 금사강(金沙江)이 이곳 호도협(虎跳峽)에 이르러 갑자기 방향을 바꾸어 북쪽으로 흘러가며 '양자강에서 으뜸 가는 물굽이'라고 불린다. 협곡의 길이는 16㎞이다. 오른쪽 기슭에 있는 옥룡설산(玉龍雪山)의 주봉은 높이가 해발 5,596m에 이르며, 왼쪽 기슭의 합파설산(哈巴雪山)은 해발 5,396m이다. 제일 강폭이 좁은 곳은 물길의 너비는 30m에 불과하며, 여기에 전망대가 있다. 옛날 전설에 의하면, 사냥꾼에 쫒기던 호랑이가 강 중간에있는 바위를 디딤돌로하여 강을 뛰어 넘었다고한다. 호도협의 상류 쪽 입구는 해발 1,800m, 하류 쪽 입구는 해발 1,630m이며. 양쪽 기슭에 늘어선 봉우리와 수면의 고도 차이는 2,500~3,000m로,.. 2021. 12. 11.
운남성 (23) - 봄이 오는 양자강변을 따라서 운남성 (23) - 봄이 오는 양자강변을 따라서 양자강 중 풍광이 가장 좋다는 금사강변의 사진들로, 여강에서 호도협가는 동안 찍은 것입니다. 멀리 옥룡설산과 합파설산이 보입니다. 관음묘 금사강 중 풍광이 제일 뛰어나다는 장강제일만(長江第一灣) 장강제일만의 기념품 가게 2021. 12. 11.
운남성 (22) - 양자강변의 유채꽃 운남성 (22) - 양자강변의 유채꽃 양자강 중 풍광이 가장 좋다는 금사강변의 유채꽃입니다. 이 사진들은 여강에서 호도협가는 동안의 사진으로, 달리는 차 속에서 찍은 것들이라 화질이 좋지 못합니다. 멀리 보이는 옥룡설산 2021. 12. 11.
운남성 (21) - 여강 시장과 사람들 운남성 (21) - 여강 시장과 사람들 아침 시간에 여강에서 제일 크다는 시장을 찾았다. 활기찬 생의 모습들을 담아본다. 2021. 12. 11.
운남성 (20) - 여강 고성의 밤 운남성 (20) - 여강 고성의 밤 2021. 12. 11.
운남성 (19) - 여강, 민속 공연 운남성 (19) - 여강, 민속 공연 여강 시내 대형 공연장에서 열리는 민속 공연이다. 장예모 감독이 연출한 옥룡설산에서의 장엄한 민속공연을 보지못하고, 대신 이 공연을 보았다. 장엄한 맛은 모자라나, 화려하고 아름다운 공연이다. 2021. 12. 11.
운남성 (18) - 여강, 흑룡담 운남성 (18) - 여강, 흑룡담 흑룡담(黑龍潭)은 여강 시내 북쪽의 상산(象山) 밑자락에 자리잡고 있으며, 청 건륭년간에 나시족이 이곳에 "옥천용왕묘(玉泉龍王廟)를 짓고, 청 건륭황제가 "옥천용신(玉泉龍神)"에 봉해지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옥수채에서 솟아오른 물은 여기를 거쳐, 여강 고성으로 흘러가고, 여강 시내까지 다다른다. 공원 내에는 푸른 버드나무 고목과, 누각 정자등이 서로 조화롭게 배치되어있으며, 이외에도 명대의 오봉루(五鳳樓). 해탈림(解脫林), 청대의 득월루(得月樓) 등 고대 나시족 건축군을 볼 수있다. 또한 공원 북쪽 입구에는 운남성 사회과학원 소속의 동파문화 연구소가 있어 나시족 문화와 관련된 것들을 전시하고 있다. 백족 할머니들 동파 문화 연구소 입구 여강 고성으로 가는 문 여강 고.. 2021. 12. 11.
운남성 (17) - 여강, 백사벽화와 나시족 마을 운남성 (17) - 여강, 백사벽화와 나시족 마을 백사벽화(白沙璧畵)는 명청시기에 그려진 것으로 려강벽화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족 회화의 세밀함과 기법을 받아들이고 티베트 불교의 유창함도 접목해 나시족의 호방한 성격을 잘 구현한 벽화예술 대표작의 하나라고 한다. 벽화를 그린 벽면을 특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몇 번의 지진에도 갈라지지 않고 지금까지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벽화 내용은 대해 가이드가 자세한 설명을 해주었으나, 나시족이 그들의 문화를 지금까지 보존해 온 경위와 도교, 불교 등 각종 종교들의 융화 관계등을 들은 기억만 남아있다. 벽화를 사진에 담아 오고 싶었으나 사진촬영 금지. 나시족(納西族, Nahsi)들은 그들을 나시(흑인이라는 뜻)라고 자칭하지만, 한민족은 그들을 모소[些]라.. 2021. 12. 11.
운남성 (16) - 여강, 옥수채 운남성 (16) - 여강, 옥수채 옥수채(玉水寨)는 옥룡설산의 얼음과 눈이 녹아 내려 지하수로 흐르다가 솟는 샘터인데, 인공 저수지 마다 밑바닥의 물풀과 작은 돌멩이까지 보일 정도로 맑은 물들이 가득하고 무지개 송어들이 물풀 사이로 신나게 헤엄쳐 다니고 있다. 이물은 흑룡담, 여강고성을 거쳐 여강 시내까지 흘러간다. 이 사원은 3도선(나시족, 장족, 백족의 조상)을 모시고 있었으며 전설에 의하면 장족의 남자가 선녀와 정을 통하여 아이를 세 명 낳았는데, 전부가 벙어리인지라 바로 여기서 사원을 만들고 라마신께 기도한 덕에 벙어리가 치료되었으며, 그들 3명이 곧 나시족, 장족, 백족이 되었다는 것이다. 려강원(麗江原)이라는 샘터, 코브라를 형상화한 이 조각은 수원을 지켜준다고 한다 동파문화를 전시해 놓은 화.. 2021. 12. 11.
운남성 (15) - 여강, 옥룡설산의 백수하 운남성 (15) - 여강, 옥룡설산의 백수하 여행자들을 위한 옥룡설산 관광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옥룡설산 기슭에서 중턱 쪽으로 리프트를 타고 올라가는 운삼평 코스와 모우평 코스, 곤돌라를 타고 정상 아래로 가는 빙천공원 코스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가보지 못한 모우평과 운삼평의 다른 분들 사진 몇장 첨부한다. 모우평 운삼평 2021. 12. 11.
운남성 (14) - 여강, 옥룡설산 운남성 (14) - 여강, 옥룡설산 옥룡설산(玉龍雪山)은 리장(麗江)에서 서북부 쪽으로 20㎞ 떨어진 곳에 웅장하게 서 있다. 이 산은 히말라야 산맥 남쪽 줄기로 아시아판과 인도양판이 접하고 있다. 현재도 지각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이 시간에도 조금씩 해발이 높아지고 있다. 이름처럼 1년 내내 눈이 녹지 않는 만년설산이다. 지구 북반구에 있는 만년설산 중 가장 남단에 있는 산이며 해발 5596m다. 13개 봉우리에 쌓인 눈이 마치 한 마리 용이 누워 있는 모습처럼 보인다 하여 '옥룡설산'이라 불린다. 나시족들은 옥룡설산을 자신들의 보호신인 '삼다'의 화신으로 여겨 신성시하고 있다. 기기묘묘한 자태가 수많은 등반대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지만 쉽게 정복을 허락하지 않는 처녀봉이다. 지형을 이루고 있는 .. 2021. 12. 11.
운남성 (13) - 여강 고성, 만고루에 올라서 운남성 (13) - 여강 고성, 만고루에 올라서 만고루(万古樓)는 여강 고성의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소원을 비는 나무 패찰 목부(木府), 500여년에 걸쳐 여강과 인근 지역을 통치해온 목씨 가문의 통치 관청 1966년 대지진으로 붕괴되었고, 1999년 중건하였다. 만고루 만고루 꼭대기에서 본 옥룡설산 2021. 12. 11.
운남성 (12) - 여강 고성 운남성 (12) - 여강 고성 차마고도 시작점이기도 한 여강(麗江, 리쟝)은 해발 2400m의 고원도시이며, 여강은 고성(古城), 노성(老城) 그리고 신성(新城)의 3구역으로 나누어진다. 이 가운데 고성은 따옌쩐(大硏鎭)이라고도 불리우며 송나라 때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여 이미 천 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전체 면적은 7,43 ㎢ 로 인구는 대략 30만명이며 이 가운데 소수민족인 나시족(納西族)이 전체인구의 58%를 차지하고 있다. 별다른 외부의 성곽 따윈 존재하지 않는다.1996년 2월 진도 7의 큰 지진이 일어나 도시의 3분의 1이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지만 이 고성 지역만 해를 입지 않았다고 한다. 1997年 世界文化遺産으로 指定되었다. 한편 노성(老城)은 여강 거주민들의 생활구역과 상업지역.. 2021. 12. 11.
운남성 (11) - 대리의 시장 사람들 운남성 (11) - 대리의 시장 사람들 대리 창산 아래에 있는 시장의 사람들이다 2021. 12. 11.
운남성 (10) - 만년설을 이고있는 대리 창산 운남성 (10) - 만년설을 이고있는 대리 창산 창산(蒼山)은 윈링산맥의 남단에 있는 주봉이며, 동쪽에는 이해호, 서쪽에는 헤이후이강이 있습니다. 창산에는 모두 19개의 봉우리가 있으며, 해발은 모두 3500m이상입니다. 최고봉은 마롱봉으로 4122m이며, 이 산으로부터 흐르는 시내들과 폭포는 정자들과 어울려 절경을 이룹니다. 세계에서 제일 큰 장기판도 있읍니다. 독특한 것은 봉우리에 걸쳐있는 구름들인데, 정상에서 바라보면 망망 대해를 보는 듯 착각을 들게 합니다. 만년설을 이룬 설경도 대리에서의 아름다운 경관이며, 리프트로 산을 오르면 창산 중턱에 위치한 전망대와 중화사(中和寺, 쭝허쓰)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 일부 관광객들은 말을 타고 오르기도합니다. 리프트를 타고 오르면서 보는 풍광 창산 중턱, 전.. 2021. 12. 11.
운남성 (9) - 대리 이해호 운남성 (9) - 대리 이해호 대리의 아름다움을 말하라고 한다면, 산 아래에 조용히 정돈된 오래된 도시와 그 옆으로 흐르는 맑은 물일 것이다. 여기서 물이라 함은 만년설산 창산(蒼山)에서 흐르는 맑은 물이 담긴 이해호(耳海湖, 얼하이호)를 가리키며 단연 이곳 자연 경관의 으뜸이라 할 수 있다. 중국에서 2번째로 큰 호수로 사람의 귀처럼 생겼다해서 이해(耳海)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바다라고 해도 믿을 정도로 거대한 규모이며, 파도도 심하다. 해발 1,972m 높이의 고원에 위치한 호수인 이곳은 창산을 뒤로하고 있으며, 길이 45km, 폭 9km, 총 면적 248km2에 이르는 넓은 곳이다. 이 호수 제일 남쪽에는 얼하이호수 공원이 있는데 창산과 어울린 얼하이의 풍경을 감상하기에 가장 좋은 곳이다. 동북부에.. 2021.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