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저 앞 시위금지법?
적어도 세 번은 “미안하다”고
해야 하는 것 아닌가
박찬욱 ‘친절한 금자씨’와
文 양산사저 앞 집회논란
전략
이(정당한 복수)는 인류 문명이
시작된 이후 가장 오래된
철학적 고민 중 하나다.
수렵 채집 단계에 머물러 있을 때는
복수의 규칙이 단순했다.
우리 부족에 해를 끼친 놈들에게
최대한의 앙갚음을
해주면 되는 것이다.
국가를 이루기 시작한 후
그럴 수 없게 되었다.
‘우리’가 받은 피해를
최대한으로 응징하면 상대편 역시
똑같은 식으로 대응할 것이고
결국 피를 피로 씻는 싸움이
이어지며 국가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원전 1750년경.
고대 바빌론 왕국의 함무라비왕은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내놓았다.
“다른 사람의 눈을 뽑은 자는
똑같이 눈을 뽑는다.”
“집이 무너져서 집주인의 아들이
죽으면 집을 지은 건축가의
아들을 사형에 처한다.”
흔히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고 알려져 있는,
이른바 동해보복법
(同害報復法, Lex Talionis)이다.
동해보복법은 끔찍하고 야만적이다.
하지만 당시의 시각에서 보자면
놀라운 발전이다.
상대에게 자신이 당한 것과 같은
고통을 겪게 하는 것으로
복수의 연쇄고리를
끊는 것이기 때문이다.
서로 과잉 복수를 하며
상호 파괴로 향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혈연과 친분으로 얽힌
부족사회의 한계를 벗어나
더 큰 정치적 단위를
이루기 위한 첫걸음을 뗀 것이다.
더 중요한 요소도 있다.
‘공권력’이 출현한 것이다.
바빌론에서는 누가
나의 눈을 멀게 하거나
엉터리로 집을 지어서
내 아들이 깔려 죽었더라도
나와 내 가족이 직접
복수를 할 수 없다.
대신 공명정대한 함무라비왕이
내가 당한 것과 같은 일을
저들이 겪게 해줄 것이다.
동해보복법 이전에는
든든한 가문이나 부족의 일원이어야
내가 겪은 부당한 일에 대해
복수할 수 있었다.
하지만 바빌론에서는 약하고
힘없는 자도 정의를 구할 수 있다.
법의 목적은 잘못한 자에게
응당한 처벌을 가하는 것이다.
법철학에서 ‘응보론’이라 부르는
이러한 관점은 근대 이후
반론에 부딪혔다.
범죄자가 범죄를 저지르지
못하게 막아야 한다는 ‘예방론’,
범죄자를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드는
것이 국가 형벌권의 이유라는
‘교화론’ 등이 출현한 것이다.
물론 각각의 반론에는
수긍할 만한 지점이 있다.
하지만 잘못한 자는 벌을
받아야 한다는 건 분명하다.
칸트가 지적했듯이 원시적인
규칙을 보장하지 않는 법 체계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정의롭다고 인정받지 못한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양산 사저 앞
시위를 두고 논란이 뜨겁다.
유튜브 조회수와 후원금을 노리는
극우 단체의 무지막지한
고성방가와 욕설,
폭언을 보며 눈살을
찌푸리지 않을 사람은 없다.
평산마을 주민들이 겪고 있는
고통도 클 것이다.
하지만 문 전 대통령 내외가
고소장을 제출하고
몇몇 친문 의원들이
‘전직 대통령 사저 앞
집회 시위 금지법’을
발의하는 모습을 보면
실소를 넘어 부아가 치밀어 오른다.
본인을 지지하는 이들이
정치적 반대자들에게
문자 폭탄을 보내고
소셜미디어(SNS)와 뉴스 댓글 등을
통해 온갖 욕설을 퍼부을 때,
문 전 대통령은 ‘양념’이라며
두둔하지 않았던가?
그 고춧가루가 남의 눈에
들어갈 때는 괜찮고,
본인 콧구멍으로 들어가니
그제야 매운가.
민주당 의원과 지지자들이
이명박 전 대통령 사저 앞에서
‘X박이’를 외쳐댔던 수많은
시위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그때 저질렀던 일이 있으니
너희도 당해보라’는 말초적
보복 감정을 두둔할 수야 없다.
하지만 문 전 대통령과 민주당 및
그 지지 세력이 이제야
‘거리의 함성’을 금지하려
드는 것은 파렴치하다.
<친절한 금자씨>로 돌아와 보자.
금자는 복수를 시작하기 전
원모의 부모를 만나
손가락을 자르며 사죄한다.
감옥에 가 있는 동안 금자의 딸은
해외로 입양가 있었다.
찾아온 금자에게 한국말을 못하는
딸이 영어로 말한다.
“적어도 세 번 이상은
미안하다고 해.”
문 전 대통령이 해야 할 일도
그런 것 아닌가.
폭력적인 정치 문화를 만들고,
조장하고, 심지어 정치적
이득까지 봤던 본인과
지지자들의 행태에 대해,
적어도 세 번 이상은 미안하다고
해야 하는 것 아닌가.
확성기에 확성기로 맞서는
원시적 보복의 연쇄를 끝내는
해법은 간단하다.
보편타당한 법을 만들고
지키면 되는 것이다.
기원전 1750년 무렵의 인류도
알고 있던 진리다.
그런데 민주당은 2022년의
대한민국 법을 함무라비 법전만도
못하게 만들고 싶어 하는 것 같다.
다시 한번 <친절한 금자씨>의
명대사를 내뱉을 수밖에.
“너나 잘하세요.”
글 / 노정태 경제사회연구원 전문위원·철학
Lesiem / Justitia
'시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북 '팃포탯(tit-for-tat)' 전략 (0) | 2022.06.16 |
---|---|
수박은 죄가 없다 (0) | 2022.06.13 |
'고마 해라. 마이 무따 아이가' (0) | 2022.06.05 |
문재인 식으로 문재인을 이길 순 없다! (0) | 2022.06.04 |
86 운동권이 만든 황금 송아지 (0) | 2022.06.03 |